Search

인구

주택 보급률이 100%가 넘었는데 집이 모자라는 이유

모든 사람은 지금보다 나은 양질의 주택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기를 원한다
좋은 집은 한정적이고, 인구 대비 신축 아파트를 원하는 수요는 늘 존재한다.
부동산 경기와 유행에 따라 대형아파트, 소형아파트, 오피스텔 등 공급량의 수급불균형이 심하다.

인구 변화 데이터 분석

저출산으로 인해 2020년 이후부터 자연인구감소를 맞이함(예상보다 이른 시기)
가정형성/취업 등으로 주택 수요 발생
고령자 사망으로 인한 빈집 발생
단, 인구문제와 주택시장의 관계는 단기간의 큰 변동은 잘 나타나지 않으므로, 장기적인 관점으로 바라봐야 할 것
국내 인구의 변화
출산율 증가에 따른 인구 증가(절대적 증가)
1960년대 3000만 명, 1980년대 4000만 명, 2010년대 5000만 명 돌파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하며 도시 인구 증가(상대적 증가)
도시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도시는 계속 확장되고 주택수요가 증가함
교외화에 따른 신시가지 조성, 신도시(위성도시) 조성
1980년대‧1990년대‧2000년대, 각각 다른 유형의 도시들이 발달

연도별 인구 변화 분석

1997~2002년
부울경, 호남권의 인구가 유일하게 감소
2017~2022년
인구 감소: 서울, 부울경, 대구경북, 광주전라, 강원도 지역
인구 증가: 경기·인천, 충청권, 제주
2021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처음으로 전체 인구 감소 시작
반면 세대(가구)수는 분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중(신축건물 필요)
서울·부산은 1990년대부터, 대구는 2000년대부터, 광주·대전은 2010년대부터 인구감소가 시작됨
도시마다 인구 증가/감소 편차가 큰 편

세대 수

우리나라 전반적으로 세대 수는 꾸준히 늘어나는 편이지만, 인구는 2020년부터 감소추세로 전환됨
국내 주요 대도시 인구는 감소하지만, 세대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함
수도권의 세대수 증가폭이 매우 크게 나타남
2018년 이후 세대수의 급격한 증가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인구감소와는 반대로 왜곡된 값이 나타남 (취득세, 양도세 등 다주택 세대에 대한 부동산 규제로 세대분리 현상이 많이 나타남)
지난 몇 년간 저금리 시기임에 따라 오피스텔 공급량이 많은 것도 세대수 증가에 부분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함
인구감소추세라도 세대수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며, 가구당 가구원 수는 더욱 줄어들 것
분가로 인해 가구당 가구원 수 줄어들었음(1970 : 5.2, 1980 : 4.5, 1990 : 3.7, 2000 : 3.1 2010 : 2.7, 2022.6월 : 2.18명)
가구당 가구원 수가 1에 수렴할수록 가구당 가구원수 감소 폭은 더욱 줄어드는 것과 마찬가지
‘군’ 지역 중 절반 정도는 세대 수가 감소추세로 전환
세대 수 증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웬만해선 신축건물이 필요 없음
향후 세대수가 감소하는 시기를 전후로 주택수요가 감소할 듯 (양질의 주택보급률도 따져봐야할 것)
향후 전망은 세대수 증가수, 증가율이 큰 폭으로 떨어질 것으로 판단됨

세대 수 증가/감소 지역

최근 5년간 세대수 감소지역
태백, 강원도 남북접경지역, 농촌지역, 서울 및 서울 주변에 80년대 이전 개발지역 일부
고령화지역 및 노후주택의 가구원 수 분화에 따른 영향(기존에 살던 사람이 빠져나감)
인구감소 추세가 매우 심각하며, 지역상권 쇠퇴로 이루어짐
최근 1년간 세대수 감소지역
서울 소형주택 밀집지역, 부산 구도심권, 농촌지역 등
가구원 수 분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 전망
최근 5년간은 증가하다가 최근 1년간 감소추세로 바뀐 지역들이 많음
최근 5년간 세대수 증가지역
경기남부가 가장 큰 폭, 충청권 일부, 수도권 및 광역시 도시 확장부 등
산업단지·일자리 유치로 많은 인구가 집중되며, 개발계획에 의한 입주물량도 많은 지역
인구 유입으로 인프라 확충. 광역교통망, 역세권 개발 기대감
최근 1년간 세대수 증가지역
과천, 인천서구, 인천중구, 세종, 평택, 대구중구, 화성, 파주, 아산, 부산동래 등
신도시개발 및 재개발(대구중구·부산동래구)에 의한 세대수 증가지역
→ 부산·대구 등의 도심 재개발은 도시의 지역상권 활성화를 더욱 유도함

연령별 인구 분포

5~19세 인구 비율 높은 곳
5~15년차 아파트, 40대 연령대 및 학령인구가 많은 곳
교육인프라가 최근 발달하는 편
20대·30대 인구
서울이 압도적으로 높음
서울 중 상대적으로 다세대주택이 많거나 집값이 저렴한 곳에 위치
학업·취업에 의한 이동이 발생
취업 이후로는 해당지역에 정착할 가능성이 높음(잠재주택수요)
고령인구 비율 높은 지역의 특징
사망자가 다수 발생하여 자연인구감소폭이 큼
신도시로 조성된 세종시를 제외하고는 국내 모든 광역자치단체에서 고령사회 비율인 14%를 초과함
부산광역시는 2022년 6월 기준, 65세 이상 인구가 20.9%로, 특·광역시 중 유일하게 초고령사회
2020년 기준 부산은 하루 평균 출생 41명, 사망 63명으로 약 8,000명의 자연인구 감소가 발생
고령화 비율이 갈수록 심해짐에 따라 자연인구 감소 폭은 더욱 커질 것
2022년 6월 함양군 출생 2명, 사망 42명으로 사망자가 출생자 21배
강원, 전북, 전남, 경북 등 산업단지가 상대적으로 빈약한 지방의 경우 고령화 정도가 매우 심각하며, 해당 지역에 산업단지가 없을 경우, 많은 빈집들이 발생할 것(특히, 인프라가 빈약한 마을 단위부터 더욱 확대)
젊은 시절부터 도시생활을 해낸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를 할 경우, 소비위축이 이루어질 것
국내 합계출산율 변화
2013-1.19, 2015-1.24, 2017-1.05, 2018-0.98, 2019-0.92, 2020-0.84, 2021-0.81
현재 전 세계에서 최저치를 기록하는 중
저출산 지역의 특징
육아·보육인프라가 약함
신혼부부들이 대단지 신축아파트를 제외하면 주택구입을 꺼려함
고출산 지역의 특징
최근 신축아파트가 많이 입주한 지역들이 많음
지방 소도시 지역들도 의외로 많음

다른 국가

일본

일본 부동산으로 알 수 있는 교훈은 일본의 부동산시장은 단순 인구문제로 버블이 붕괴된 것은 아님
다만, 인구감소에 의한 지방·수도권 외곽지역의 많은 빈집발생은 사실
심리적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매우 낮은 상황
일본의 인구문제는 1990년대부터 제기되었으며, 우리나라도 10년 전에 인구문제와 집값하락의 영향에 대한 관심이 컸음
2022년, 현재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고령화율 및 저출산문제가 일본보다 심각하여 더욱 장래 인구구조가 걱정됨
일본의 30년 전 수치보다 곧 위기에 닥칠 우리나라의 인구절벽문제가 더욱 심각한 것은 사실
학령인구 감소
2021~2022년: 대학교 입시에서 수많은 지방대가 미달 발생
향후 , 학령인구는 약 10년 뒤에 주택수요자가 된다는 것을 명심
생산가능인구
15~64세 인구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로 나뉨
1990년 69.5%를 정점으로 내려왔으며, 대한민국의 경우 2015년 72.9%를 정점으로 내려옴
2045년 한/일 역전
1980년 67.3%, 1990년 69.5%, 2000년 67.9%, 2005년 65.8%, 2010년 63.7%, 2015년 60.7%
30~39세 : 신규주택수요 비율 높음
65세 이상 인구
7%, 14%, 20%에 따라 고령화, 고령, 초고령 사회로 나뉨
고령화인구비율 : 2040년 한/일 역전
2020년 기준 대한민국 평균수명 83.5세
70~79세 : 신규주택수요 X, 빈집발생빈도 높아짐
80~100세 : 상당수에서 수년 내에 빈집발생
자연인구 감소시점 : 일본 2005년, 대한민국 2020년
저출산 : 현재 한국이 심각
젊은 시절부터 아파트에 거주하던 세대가 70대 이상이 되었을 시 아파트의 공실 발생빈도도 높아짐
따라서 양질의 주택보급률(90년대 이후 건축된 아파트 비율)이 중요하며, 열악한 주택부터 공실이 발생할 것

기타

인구 1,000명당 주택수 미국, 영국은 정체 상태
일본은 약 2명마다 1채의 주택이 있음
2020년 기준 지방의 인구 1,000명당 주택 수는 451.7채로 미국, 영국을 이미 넘어섬
가구당 가구원 수가 2.5명일 경우, 인구 1,000명당 주택 수가 400채를 넘어설 때부터는 비율이 조금씩만 늘어나도 주택의 만성부족에서 해결되며, 1인당 450채를 넘길 경우, 빈집들이 발생하게 됨
국내 대도시에서는 부산, 광주의 비율이 높은 편이며, 이들 도시에서는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한 집들도 많음
가구당 가구원 수가 적은 지역 중 서울 도심지역은 젊은 1인 가구가 많은 편이고, 농촌지역의 가구원 수가 적은 지역은 독거노인이 많은 편이라 서로 상이함.
가구당 가구원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지역은 최근 조성된 신도시 혹은 교육환경이 비교적 좋은 지역임
최근 1·2인 가구의 급증으로 가구당 가구원 수가 급감함. 특히 농촌 지역에서 가구당 가구원 수가 2 이하로 떨어질 경우, 사망자에 의한 자연인구감소비율이 매우 높아지며, 단기 인구감소 폭이 매우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빈집이 많이 발생하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