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금리, 정책

금리와 부동산

고금리 → 저금리
수익형 부동산 메리트 크게 증가 (상가, 오피스텔, 원룸 등)
저금리
수익형 부동산 공급량 증가 (수익형, 소형 부동산 매도 시점)
저금리 → 고금리
수익형 부동산 메리트 감소 및 가치 투자(우량주 위주)로 변환
보유 후 거품 형성 후 매수심리가 절정을 이룰 때 매도 시점 고려
거품이 생길 가능성이 큼 (전세가격 대비 매매가격이 높아짐, 전세가율 하락)
고금리
수익형 부동산 공급량 감소 (수익형, 소형 부동산 매수 시점)
2011년~ 2015년
전체적으로 물량 부족. 전세가격이 크게 오름
2016년부터~
절대적인 공급부족에서 탈피하여 상대적인 공급부족으로 전환되는 과도기
2017년 3/4분기~ 2019년 1/4분기
전국적으로 입주물량이 많은 편
수도권의 많은 입주물량 여파로 역전세난 대량 발생
많은 지역에서 전세가격이 하락
기존에 공급이 모자랐던 소형아파트보다 선호도가 높은 아파트가 수익이 크게 나는 시기
2013년 이후로는 원룸․초소형아파트 공급량도 매우 많은 편
재건축, 재개발, 분양권, 신축아파트, 선호지역, 위치 좋은 역세권 대단지, 인기단지 대형 등이 크게 상승
입주물량이 많은 시기는 역전세가 날 가능성이 높으니 전세와 매매 격차가 큰 곳은 가격 하락 가능성도 높음
2024년 이후 수도권 입주물량 급격히 감소
택지개발촉진법 이후(택지개발에 보통 10년 소요)
단기 공급물량 많지 않은 편.
3기신도시 개발 및 서울 재개발 활성화로 장기 공급물량은 많아질 예정(지역별 편차는 있음)

정책과 부동산

수도권 시장은 입주물량의 영향도 받지만, 정책의 영향에 크게 휘둘림
전세가격, 매매가격 동반 상승
입주물량의 부족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음
매매가격 하락, 전세가격 상승
입주물량의 부족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으나, 정책 후유증이 정상화되는 과정
매매가격 상승, 전세가격 정체
입주물량이 충분한 시기이나, 정책 부작용으로 매매값만 올라감 (2018년 이후 서울)
매매가격 하락, 전세가격 하락
정상적인 정책 시장에서 입주물량 폭탄이거나, 금융위기 및 거시경제리스크를 맞이함
규제 강화 시기보다, 규제 완화 시기에 부동산시장은 비교적 안정된 편
2020.07.10대책(취득세 중과세) 이후로 오피스텔·생활형숙박시설·지식산업센터·상가· 토지 등 부동산 투자에 대한 다변화가 이루어짐
고분양으로 분양한 오피스텔·생활형숙박시설 등 일시적으로 유행하는 부동산은 주의 필요!
굳이 오피스텔을 사려면, 위치가 아주 좋은데 오래되어 가격이 저렴한 것들이 상당히 많음
종부세, 취득세, 양도세 폭탄으로 인한 똘똘한 1채 소유가 대세
전세가율을 고려하지 않은 똘똘한 1채에 대한 투자는 향후 위험이 커질 수 있음
조정지역 지정·해제 등에 따른 비상식적인 국지적 폭등장세 현상
딱히 논리적이지 않은데 비상식적으로 크게 올랐으며, 혜택도 적용해줄 시에는 매도 기회를 줄 때 매도를 해야 함
2020.06.17 부동산대책 이후 김포 아파트는 매도를 하는게 나았음 (2022년 이후 검단신도시 대거 입주 영향을 받는 지역)

부동산 시장 주요 관전포인트

금리에 따른 부동산시장 영향
고가아파트, 저가아파트, 토지, 건물, 상가, 오피스텔, 생숙, 지산 등
정책변동
취득세·종부세·양도세
수도권 vs 지방
인구추세, 개발호재, 국지적 입주물량
신축·분양권 vs 기존아파트
가성비의 부활 여부
재건축·리모델링 vs 신도시·택지지구
시내지역 vs 개발호재·주거인프라
입주물량 들어오는 지역의 득 vs 실
편의시설 및 인프라 확충 vs 수요 분산
신도시가 호재를 물고 들어오는지?
GTX, 관공서이전, 대규모 일자리 유치 등
하락추세로 영구 전환? or 바닥을 찍고 반등을 할 것인지?